목록HTTP (19)
yeon's blog

🌱 Stateful, Stateless 상태유지: 서버가 클라이언트의 상태 보존 단점 - 중간에 서버에 장애가 나면, 다른 서버에서 처음부터 다시 시작해야 함 고객: 이 노트북 얼마인가요? 점원: 100만원 입니다. (노트북 상태 유지) 고객: 2개 구매하겠습니다. 점원: 200만원입니다. 신용카드, 현금 중에 어떤걸로 구매하시겠어요? (노트북, 2개 상태 유지) 고객: 신용카드로 구매하겠습니다. 점원: 200만원 결제 완료되었습니다. (노트북, 2개, 신용카드 상태 유지) → 점원이 바뀌지 않는 경우에는 문제가 발생하지 않지만, 고객: 이 노트북 얼마인가요? 점원A: 100만원 입니다. 고객: 2개 구매하겠습니다. 점원B: ? 무엇을 2개 구매하시겠어요? 고객: 신용카드로 구매하겠습니다. 점원C: ? ..

🌱 클라이언트 서버 구조 Request Response 구조 클라이언트는 서버에 요청을 보내고, 응답을 대기 서버는 요청에 대한 응답을 만들어 응답 역할 원래는 클라이언트와 서버가 하나였다가 개념적으로 분리가 되면서 클라이언트는 UI, 사용성에 집중하고 서버는 비즈니스 로직이랑 데이터에 집중하게 되었다. 이슈가 발생해도 서로의 역할이 달라 이슈에 대한 영향을 미치지 않고 독립적으로 이슈를 대응하면서 진화할 수 있다.
🌱 모든 것이 HTTP HTTP(HyperText Transfer Protocol) HTTP: 하이퍼 텍스트, 즉 문서 간에 정보를 주고 받을 수 있는 프로토콜 HTML, TEXT, IMAGE, 음성, 영상, 파일, JSON, XML 등 모든 형태의 데이터를 담아 전송 가능 지금은 HTTP 시대!! HTTP 역사 HTTP/0.9 (1991년) : GET 메서드만 지원, HTTP 헤더X HTTP/1.0 (1996년) : 메서드, 헤더 추가 HTTP/1.1 (1997년) : 가장 많이 사용하고 우리에게 가장 중요한 버전이다. HTTP/2 (2015년) : 성능 개선 HTTP/3 (진행중) : TCP 대신에 UDP 사용, 성능 개선 HTTP 기반 프로토콜 TCP: HTTP/1.1, HTTP/2 UDP: HTT..

🌱 웹 브라우저 요청 흐름 웹 브라우저가 어떻게 동작 할까? 1. URL을 입력한다 2. DNS 서버로 IP를 찾아내고 생략된 PORT는 scheme로 찾아낸다 3. 웹 브라우저에 HTTP 요청 메시지가 생성된다 4. SOCKET 라이브러리를 통해서 찾은 IP와 PORT 정보를 TCP/IP로 3 way handshake 방식을 이용해 서버랑 연결한다 5. HTTP 요청 메시지는 OS에 있는 TCP/IP 계층으로 전달한다 6. TCP/IP 계층에서 HTTP 요청 메시지에 패킷으로 감싼다 7. 웹 브라우저가 만든 요청 패킷이 서버에 도착하면 서버가 패킷을 열어 HTTP 요청 메시지를 확인한 후 해석한다 8. 서버가 만든 HTTP 응답 메시지(TCP/IP 패킷을 감싸 전송)가 클라이언트에게 도착하면 클라이언트..

🌱 URI URI? URL? URN? URI 내부에 URL, URN이 포함되어 있다. URI는 로케이터(Locator), 이름(Name) 또는 둘다 추가로 분류될 수 있다. URI (Uniform Resource Identifier) Uniform: 리소스를 식별하는 통일된 방식 Resource: URI로 식별할 수 있는 모든 자원 Identifier: 다른 항목과 구분하는 데 필요한 정보 URL (Uniform Resource Locator) Locator: 리소스가 있는 위치 (→URI와 거의 같은 의미) URN (Uniform Resource Name) Name: 리소스에 부여한 이름 → URL과 URN의 차이점은 URL은 위치(Locator)로서 변할 수 있지만 이름(Name)은 변하지 않는다. ..
🌱 DNS DNS(Domain Name System: 도메인 네임 시스템) 구글 이라는 타이틀로 도메인을 설정하면 사람들이 쉽게 접근할 수 있음 (ex. www.google.com) 또 한 가지 DNS 서버를 사용하게 되면 다음과 같은 key, value 형태로 값이 저장하게 되는데, 도메인명 IP google.com 123.456.673.2 여기서 만약 구글의 IP가 변경된다고 해도 사용자는 그대로 도메인명인 google.com을 사용하면 됨 왜냐하면 value인 IP만 변경하면 되므로 도메인명은 그대로 사용

🌱 PORT 한 번에 둘 이상 연결해야 하면? 내 pc에 여러 어플리케이션(게임, 화상통화, 웹브라우저 등)을 돌리고 있다고 가정해보자! 이 경우에는 여러 서버랑 통신하게 된다. 여기서 서버쪽에서 각각의 어플리케이션의 패킷들이 내 pc로 올텐데.. 이 때!! 패킷들이 게임 패킷인지, 화상통화 패킷인지, 웹 브라우저 응답 패킷인지 구분을 할 수가 없다. → 그래서 한 IP안에 여러 어플리케이션 패킷을 구분 지을 수 있도록 `PORT` 를 사용한다. TCP/IP 패킷 정보 IP는 목적지 서버를 찾는 용도이고, 서버 안에서 돌아가는 애플리케이션들을 구분하는게 PORT이다. 같은 IP 내에서 프로세스 구분 PORT는 한 IP 내에 여러 어플리케이션이 돌고 있을 때 각 패킷을 구분짓기 위해 사용한다. 게임: 80..

🌱 TCP, UDP 프로토콜 4계층 IP 프로토콜의 한계점을 TCP 프로토콜이 해결해줌 1) 프로그램이 ‘Hello, World!’ 라는 메시지를 보낸다. 2) SOCKET 라이브러리를 통해 OS 계층에서 TCP 정보를 감싼다. 3) 그 밑에 IP 패킷이 생성되서 IP와 관련된 정보도 있고, 그 안에 TCP와 관련된 정보가 있다. 4) 이 메시지가 LAN 카드를 통해서 서버로 나갈 때 Ethernet frame을 포함해서 나가게 된다. → Ethernet frame: LAN 카드에 등록된 맥 주소의 물리적인 정보 TCP/IP 패킷 정보 출발지/목적지 PORT 전송 제어 순서 정보 검증 정보 → IP 프로토콜에서 해결이 안된 순서 제어 문제들을 해결할 수 있음!✨ ✨ ✨ TCP(Transmission Co..

🌱 IP(인터넷 프로토콜) IP 주소 부여 인터넷 망에서 컴퓨터들은 어떻게 통신할까? 예를 들어 클라이언트 옆에 서버가 있으면, 간단하게 케이블을 연결해서 'Hello, world!'라는 메세지를 보내면 통신이 된다. 그러나 클라이언트가 한국에 있고 서버가 미국에 있다면, 한국에 있는 클라이언트가 메세지를 보내기 위해서는 중간에 해저광 케이블이든 인공위성을 이용하든 수많은 서버들을 거쳐 미국에 있는 서버에게 보내야 할 것이다. 어떤 규칙으로 미국에 있는 서버에 안전하게 도착할 수 있는지를 이해하기 위해 우리는 IP 프로토콜을 알아야 한다! IP 역할 지정한 IP 주소(Address)에 데이터 전달 패킷(Packet)이라는 통신 단위로 데이터 전달 클라이언트와 서버의 IP 주소가 있어야 하고, 서버에게 ‘..